1. 해당 분야의 초짜라면 입문서나 학교 강의나 블로그 등 말랑말랑한 내용부터 공부한다.
    1. 그게 아닌 이상, 쓸데없이 블로그나 유튜브로 공부할 시간에 논문 스키밍하는 게 빠르고 디테일 이해 더 잘된다.
  2. 1을 완료한 직후라면 여러 논문의 abstract과 introduction 정도만 읽어본다. 논문에 나오는 어휘나 표현법 정도만 익숙해진다는 걸 목표로 읽는다. 여기서 조금 더 익숙해진다면 related work까지 읽는다.
    1. 2번까지는 사실 논문의 주 내용을 이해한다기 보다는 각 논문을 이해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과거 논문들의 요약본을 먼저 이해하기 위한 용도라고 생각하자.
  3. 이후에는 각 논문의 세세한 내용을 빠짐 없이 읽는다.
    1. 교만한 마음으로 2에서 아래 4로 바로 넘어가지 말고, 논문의 모든 내용을 최대한 곱씹으면서 저자들의 논리 구조 모든 것을 파악한다는 마음으로 읽는다. 이는 나중에 자신의 논문을 쓸 때도 자양분이 된다.
  4. 3의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새로운 논문을 읽어도 이미 읽었던 논문과 구조와 내용이 중복된다는 걸 느낄 것이다. 이때부터는 대강 abstract, results, limitations (discussion) 정도만 읽는다. 혹은 abstract과 논문 전체의 figures나 tables 정도만 봐도 충분하다.

https://hits.seeyoufarm.com/api/count/incr/badge.svg?url=https%3A%2F%2Fiycho.notion.site%2F4203db0969e148369933a9627fc19a8d&count_bg=%2379C83D&title_bg=%23555555&icon=&icon_color=%23E7E7E7&title=hits&edge_flat=false